포바이포(389140) 주식 투자 분석 리포트
기준 일자: 2025년 7월 4일
사업 구조 분석
포바이포는 AI 화질 개선 솔루션 PIXELL을 중심으로 사업을 전개합니다. 주요 매출원은 다음과 같습니다.
- 초고화질 영상 제작: 영화 및 드라마 후반 작업
- 디지털 플랫폼 운영: 8K 영상 스톡 플랫폼 KEYCUT STOCK
- e스포츠 IP 운영: 피어엑스 게임단 및 MCN 롤큐 운영
2023년 자회사 3개 인수로 사업 다각화를 시도했으나, 인건비 증가로 영업손실이 확대되었습니다.
재무 현황 평가
지표 | 2022년 | 2023년 | 2024년 | 2025년 1분기 |
---|---|---|---|---|
매출액(억 원) | 162 | 338 | 333 | 68 |
영업이익(억 원) | -105 | -163 | -139 | -26 |
부채비율 | 13.74% | 58.66% | 93.38% | - |
긍정적 측면: 2025년 1분기 적자 폭 34.5% 축소. 위험 요소: 현금성자산 307억 원 → 87억 원 감소, 3년 연속 영업적자 지속.
적정 주가 산출
PER(주가수익비율) 방식
2026년 흑자 전환 가정하에 업종 평균 PER 15배 적용 시:
목표가: 15,000원
DCF(현금흐름할인) 방식
할인율 12%, 연평균 성장률 20% 적용 시:
적정가 범위: 14,500원~16,000원
현재가 15,890원 대비 저평가 여력 5% 내외로 분석됩니다.
투자 리스크 평가
- 상장유지 현황: 2026년까지 흑자 전환 실패 시 현금유동성 위험 존재
- 고정비 구조: 인건비·R&D 비중 70%로 매출 변동에 취약
- 산업 비교: 매출 성장률(19.44%)은 우수하나 영업이익률(-41.74%)은 업종 평균(-3.1%) 대비 열위
시장 참여자 동향
외국인 지분율 0.41%로 소폭 보유 상태. 최근 3개월 간 특별한 매수세 증가 추세는 확인되지 않습니다.
종합 투자 의견
중립을 유지합니다. 주요 근거는 다음과 같습니다.
- 우리 기술: AI 솔루션 글로벌 진출 및 CES 혁신상 수상
- 우려 요소: PBR 5.37배로 업종 평균(2.0배) 대비 고평가, 2025년 1분기 매출 31.9% 하락
단기 매수 전략은 14,500원 이하 진입 시 고려할 수 있으나, AI 솔루션 매출 본격화 시점인 2026년 상반기 실적 확인이 필수적입니다.